IT 대란의 중심(?)에 서다 -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CRWD)

반응형

 

**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투자의 결과는 본인의 몫 입니다. 누구도 탓하지 마세요 **

 

알게된 계기

IT 뉴스 쪽을 보다보니 미국의 IT 시스템이 마비가 되었다는 뉴스를 읽게되었다.

 

전세계 MS發 '대혼란'…국내 항공·게임 서버도 '먹통' [종합]

전세계 MS發 '대혼란'…국내 항공·게임 서버도 '먹통' [종합], 전 세계 IT 시스템 마비 "MS 윈도우10 사용 기업 조직 영향 커" 오류 원인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지목돼

www.hankyung.com

 

원인 자체는 윈도우에 설치되는 보안 소프트웨어의 패치 후 버그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업체가 어떤 업체인지 확인해보니 크라우드 스트라이크라는 회사였다.
다르게 생각해보면, 보안 소프트웨어 패치 회사 하나가 마비를 시킬 정도면, 많은 회사가 사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싶어

크라우드 스트라이크라는 회사를 알아보게 되었다. (이게 역발상 투자?)

 

 

MS발 '죽음의 블루스크린' 알고 보니?…클라우드스트라이크 '업데이트 탓'

...

www.imaeil.com

 

아이러니 하게도 이번에 장애의 원인이 된 업체이긴 하지만, 조금 살펴보니 이번 사건을 제외하고는 괜찮은 기업으로 보여져서 간단하게 분석을 해보았다.

 

기업이 하는 일은?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Falcon 플랫폼을 구축하여 엔드포인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엔드포인트(Endpoint) 란?

직역하면 "끝점" 으로 번역될 수 있는데, IT에서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부분으로, 쉽게 말해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말한다고 한다.

즉, 엔드포인트 보안은 네트워크 끝에 있는 기기들을 보호하는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FALCON 제품군

Falcon Prevent 엔드포인트에서 악성코드와 위협 탐지
Falcon Insight EDR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기능 제공
Falcon Device Control 엔드포인트 기기 제어 및 데이터 유출 방지 기능 제공
Falcon Overwatch 관리형 탐지 및 대응 (MDR) 서비스 제공

 


EDR 이란?

기존 보안 솔루션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해킹 방식을 막는 형식이었다면, EDR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 등에서 나타나는 이상 징후나 액션을 탐지하여 사전 차단함으로 써 알려지지 않은 해킹을 막는데 중점을 둔 보안 솔루션

 

주목해야할 점

1. 높은 기술력

크라우드 스트라이크는 각종 기관에서 리더로 선정되며, 높은 기술력을 인증받았다고 할 수 있다.

  1. 23년 가트너의 엔트포인트 보안 플랫폼 분야에서 4년 연속 리더로 선정
  2. 24년 IDC 마켓스케이프에서 전 세계 관리형 탐지 및 대응 서비스 부문 리더
  3. 24년 포레스터 웨이브의 확장 탐지 및 대응 플랫폼 부문에서 리더로 선정
 

CRWD, 가트너 선정 엔드포인트 보호 플랫폼 부문 리더로 선정

2022년 Magic Quadrant 엔드포인트 보호 플랫폼 부문에서 인정받음으로써 사이버 보안 리더, 혁신가 및 ...

blog.naver.com

 

2. 고객 만족도

어느 기업이나 고객 만족도 및 평가가 중요한데, 가트너의 Peer Insigths에서 Customers' Choice에 선정되었다고 한다.
(524개 리뷰를 바탕으로 5점 만점의 4.8점, 99%의 고객이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의 플랫폼을 추천)

 

 

재무 재표

etc-image-0

 

매출과 매출 성장률을 봤을 때, 4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번 사태 및 향후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 지는 지속적으로 체크해봐야 겠다.

 

etc-image-1

 

투자 자본 이익률도 전반적으로 -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현재 +로 돌아선 것이 확인 된다.

 

 

결론

  •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보안 소프트웨어 회사
  •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역발상 투자로의 분석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