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제작하는 앱에 대해서 몰랐던 점을 정리하고 있었는데, 결국 API을 활용한 서버가 필요할 것 같아 Spring Boot를 차근차근 배우기로 하였습니다. 앱 개발만해서 웹, 서버 쪽은 1도 모른다는... 하지만, 생각없이 바로 시작하는 게 낫겠죠? 처음은 환경 구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스프링부트에 대한 기초 정의는 아래의 다른 블로그 포스팅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1-01 필자가 생각하는 스프링부트란? 스프링부트(Spring Boot)는 자바의 웹 프레임워크로 기존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에 톰캣 서버를 내장하고 여러 편의 기능들을 추가하여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프… wikidocs.net Spring Boot 환경 구축 1. JDK 설치 JDK 중에 당연히 유..
안녕하세요 역시나 처음 그 기세(?)는 어디가고 작성일의 텀이 길어지고 있네요 하루에 한번이 안되면 이틀에 한번, 한줄이라도 작성해서 무언가 남기는 하루가 되어야 겠습니다. 오늘 작성해 볼 내용은 Retrofit 입니다. Retrofit이란? Retrofit 은 서버 안드로이드 간 REST API 수행을 돕는 라이브러리입니다. 간단하게 장점을 설명하자면, 1. 구현이 간단하다 코드량이 비교적 적어 빠르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 부분은 또다른 Library인 Volley와 비교를 해야하는데, 실제 사용해보진 않아서 확실하진 않다. 2. 가독성 Annotation을 활용하여 HTTP Method 코드 작성으로 코드가 읽기 쉽다. 3. 성능 AsyncTask는 Deprecated 되었음 위와 같이, Volley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