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대동(000490) - 산업 동향 및 재무제표 분석

반응형

* 종목 분석 글은 개인적으로 정리 한 것을 남기거나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해당 글은 종목 추천이 아니니 투자는 본인이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이 있는 것이니 신중한 판단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첫 포스팅에서 대동의 사업분석을 마치고,2번째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첫 포스팅은 대동의 전체적인 사업 분석 및 주력 사업에 대한 부분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번엔 대동이 업으로하는 분야의 산업 및 대동의 재무제표에 대해서 분석 및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 첫 포스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종목분석] 대동(000490) - 사업 분석

안녕하세요 원래는 주식에 관심이 많았는데, 올려야지 X 100을 반복하다가 이제서야 올리게 됩니다. 저의 첫 분석기업은 농기계 관련 기업인 대동(000490) 입니다. 좋아보이거나 추천하는 종목은

weirddev.tistory.com

 

 

 

산업동향 - 글로벌

 

대동의 주요 사업인 농기계 산업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200조 규모의 시장으로 과거부터 미래의 시간 순서로 봤을 때,

연도별로 점점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및 예측 됩니다.

글로벌 농기계 시장 규모 및 전망, 출처 : 한국기계연구원

 

또한, 글로벌 식량위기에 대응 및 예방을 위해 생산에 활용되는 농기계에 관심이 늘게되면서, 매년 5%이상 꾸준하게 성장하는 산업군으로 확인됩니다. 

 

글로벌 농기계 산업 규모. 출처 : 한국IR협의회

위의 내용으로 봤을 때, 농기계의 수요는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요 기업은 미국 존 디어(John Deere), 영국 CNH, 일본 구보타(Kubota), 미국 애그코(AGCO) 가 있고, 이 4개 업체가 시장의 4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농기계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상황으로 농업용 자율주행, 드론 등의 첨단산업으로 진화중입니다.

 

 

산업 동향 - 국내

글로벌 시장에 비하면 국내 시장의 규모는 매우 작습니다. 글로벌 규모의 1%로인 2조원 정도로 추산됩니다.

글로벌 규모와 국내 규모의 격차 차이는 아래의 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술 격차를 나타낸 차트인데, 국내 업체들이 미국업체에 비해 3년 정도 늦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출처 : 전국경제인연합회

 

이 중 국내 시장 규모를 추산해보았을 때, 국내 1위 기업으로는 대동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LS엠트론, TYM과 같이 주요 3사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재무제표 분석

매출액 측면에서는 5년간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매출총이익률과 판관비율의 관계가 서로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보니, 판관비율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지가 포인트로 보여집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각 연도 4분기를 제외하면 0 ~ 10%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투자관련 지표를 보자면, CAPEX 부분은 20년도 2분기, 21년도 4분기 쯤에 크게 사업적으로 투자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크게 투자할 시기에 영업현금활동흐름이나 FCF가 +로 기록했으면, 조금 나았지 않았을 까 생각합니다.

 

20년도 2분기에 기록한 것은 20년도에 당사가 북미 진출을 위해 판매기반 확보를 위한 설비투자로 확인이 되고, 21년 4분기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생산하는 설비 투자에 투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동모빌리티, 제품부터 생산까지 스마트한 ‘S-팩토리’ 완공 - 농수축산신문

스마트 모빌리티 전문 기업 대동모빌리티는 대구 국가산업단지 부지에 연간 최대 14만5000대의 스마트 모빌리티를 생산할 수 있는’ S-팩토리’를 준공했다고 밝혔다. 대동그룹은 2021년 스마트

www.aflnews.co.kr

 

 

현금흐름 그래프는 위의 그래프에 맞게 투자가 없을 때는 현금흐름이 대부분
영업현금흐름 +

투자현금흐름 -

재무현금흐름 -


의 상황으로 보이지만, 큰 투자가 실행되었을 때는 좋은 흐름은 안나오는 것 같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인가??)

 

위의 설명과 같이 잉여현금흐름이 없는 큰 투자와 그에 따라 불안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하지만, 재고자산 회전율을 좋게 가져갈 수 있다면 좋았겠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점점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는 것은 아쉬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결론

현재까지 분석으로는 

- 당사의 사업부문은 글로벌에 비해서는 뒤쳐지지만 국내에서는 1위 기업으로 보임

- 미래를 위한 큰 투자를 진행중으로 보임

- 하지만 투자 진행 시 현금흐름이 나빠지는 모습이 보임 >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

 

추가 분석은 다음 포스팅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