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SGC이테크건설(016250) - 산업 동향 및 재무제표 분석

반응형

* 종목 분석 글은 개인적으로 정리 한 것을 남기거나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해당 글은 종목 추천이 아니니 투자는 본인이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이 있는 것이니 신중한 판단 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도 잘못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첫 포스팅에서 대동의 사업분석을 마치고,2번째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첫 포스팅은 대동의 전체적인 사업 분석 및 주력 사업에 대한 부분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번엔 대동이 업으로하는 분야의 산업 및 대동의 재무제표에 대해서 분석 및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 SGC이테크건설의 첫 포스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목분석] SGC이테크건설(016250) - 사업 분석

* 종목 분석 글은 개인적으로 정리 한 것을 남기거나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해당 글은 종목 추천이 아니니 투자는 본인이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이 있는 것이니 신중한 판단 하시기 바랍니다. 안

weirddev.tistory.com

 

산업동향 

 

SGC이테크건설의 주 사업인 플랜트 부문의 산업 동향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크게 국내 기업의 해외 플랜트 과거 및 현재 동향으로 먼저 확인을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도 국내 기업의 해외 플랜트 수주액이 전년도 대비 25%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etc-image-0
출처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82910

 

아무래도 이미 알려진 한국 - 사우디의 경제 외교 및 네옴시티 이슈 등으로 인해 중동지역 수주액이 대폭 증가가 한몫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잘 알려진 대기업 계열사에서 수주한 금액이 비중이 크겠지만,

 

아래 기사에서보시면, SCG이테크건설도 사우디 플랜트 수주에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반응형
 

SGC이테크건설, 6500억 사우디 플랜트 수주 - 딜사이트

에틸렌·프로필렌 설비 EPC 사업자 선정…중동시장 공략

dealsite.co.kr:443

 

 

재무제표

 

etc-image-1

 

매출액 대비 판관비육을 0에 수렴하는 상황으로 해당 부분은 긍정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매출총이익율도 낮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etc-image-2

 

21년 이후로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소폭으로 하락중입니다. 이전에 봤던 매출총이익율의 개선이 되지 않아 해당 부분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etc-image-3

 

CAPEX 대비 FCF가 + 라면 긍정적으로 보이는 상황이지만, CAPEX 자체가  적고, FCF의 값이 유동적이므로 현재로써는 긍정적이지는 않아보입니다.

- CAPEX가 너무 낮은 부분은 왜?

- CAPEX가 낮은데 FCF는 높지가 않은지?
등의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etc-image-4

 

매출액 대비 재고자산을 감소하는 추세로 이 부분은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etc-image-5

 

위와 마찬가지로 재고자산회전율이 어느 시점부터 상승하였고, 건설업의 재고자산은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원자재 및 미완성 공사가 주를 이루게 되는데, 재고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원자재 재고 운영 및 공사를 마치고 고객에 전달을 잘 마쳤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etc-image-6

 

다른 수치는 제외하고도 직원수가 코로나 전후로 줄어들지 않고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회사가 안정적이라는 부분으로도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건설사에서는 수주 잔고라는 부분이 있는데, 매출과 관련있는 부분이라 아래에 정리를 해보았습니다만, 비중에 많은 플랜트 부분에서 4분기 동안 줄어드는 부분이 있어, 해당 사항도 추가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etc-image-7

 

 

결론


현재까지 분석으로는 

  • 당사는 매출총이익율에 대한 부분 개선이 필요해보임
  • CAPEX가 거의 없는 부분에 대해 이유 확인이 필요해보임
  • 수주 잔고가 줄어드는 부분이 좋은 현상은 아니라고 생각함

 

추가 분석은 다음 포스팅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