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블랭크 마스크 관련 기업 블랭크 마스크란 전처리가 된 웨이퍼에 패턴을 찍는 포토 마스크(포토마스크)가 패턴이 없는 형태로 이해하면 됩니다. 사진에 비유하면, 촬영 전 필름이 블랭크마스크, 촬영 후 필름이 포토 마스크 입니다. 추가로, 블랭크마스크 시장은 점유율 8 ~ 90%이상을 차지하는 일본 기업이 장악하고 있기에, 세계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SKC 2차전지∙반도체∙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 기업 www.skc.kr 에스앤에스텍 - 2001년 블랭크마스크 개발에 성공하여 국내 시장 최초 진출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중국 SMIC, 대만 TSMC, 미국 포트로닉스 등 국내·외 기업을 고객사 확보 - 20년 기준 매출 중 수출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30%다. - 최근 3년 사이..
포토공정 얇게 웨이퍼를 만들고 보호막 역할을 하는 산화막까지 형성시킨다음에는 회로를 그리는 작업을 합니다. 이를 포토공정 이라고 합니다. 포토 공정은 사진을 인쇄할 때의 기법을 이용하여 회로 패턴을 만들어내는 작업이기에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포토 공정의 세부 과정으로는 1. 접착제(HMDS) 도포 산화막을 형성한 웨이퍼에 기름인 접착제와 그위에 감광제를 도포 하기 전에 오염물질 및 물기를 없애기 위해 낮은 온도로 데워준 후(Baking), 접착체를 먼저 웨이퍼 위에 도포 합니다. 감광제를 먼저 도포할 수 없는 이유는 감광제가 소수성(물과 친하지 않은 성질)이기 때문에 접착체를 먼저 도포하여감광제와 웨이퍼가 잘 달라붙도록 합니다. 2. 감광제(Photo Resist) 도포 접착체 도포 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