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Paging이라는 Library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Paging Paging은 로컬 스토리지나 네트워킹을 통해 전달된 큰 데이터셋을 로드하거나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대역폭이나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Paging의 Component들은 Kotlin 지원이 가능하고, 다른 Jetpack Component들과 통합할 수 있으며, 권장하는 Android App Architecture에 맞게 설계되었습니다. 설정 dependencies { def paging_version = "3.1.1" implementation "androidx.paging:paging-runtime:$paging_version" // Android..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Jetpack 구성 요소 중 Navigation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Navigation Navigation은 위의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UI의 이동을 관리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Android Jetpack의 Navigation은 특히 App bar, Navigation Drawer 등과 같은 간단한 클릭으로 Navigation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성 요소 Navigation graph : 모든 Navigation과 연관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XML. Destinations라고 불리는 앱의 개별 콘텐츠 공간으로 사용자가 앱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등을 포함합니다. NavHost : Navigation graph로 부터 Destinations에 표시할 ..
이전 포스팅에서는 Clean Architecture 개념 정리를 하였습니다. Clean Architecture 개발자로써의 고민 개발자로써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유지 보수 입니다.하나의 기능에 대해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끝이 아닌 버그, 기능 개선 등의 유지 보수 활동이 이어질 것이 irregularly.tistory.com 이번에는 Android에서의 Clean Architecure는 어떠한 개념인지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Android에서의 Clean Architecture 구조 위의 구조로, 기존 Clean Architecture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고 이름만 다릅니다. 대략적인 데이터 흐름도 Presentation > Domain > Data > Domain > Present..
개발자로써의 고민 개발자로써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유지 보수 입니다.하나의 기능에 대해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끝이 아닌 버그, 기능 개선 등의 유지 보수 활동이 이어질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해당 활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일 것입니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되는 것이 개발 전 어떻게 개발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 즉,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일 것입니다. 위의 고민으로 출발하게 되어 아키텍처를 공부하기위해 살펴보는 중에 Clean Architecture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Clean Architecure란? 현재까지 대부분의 아키텍쳐들은 세부 사항이 다르지만 유사한 형태를 보입니다. 그것은 각각의 모듈은 분리 일 것입니다. 소프트웨어를 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