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종목 분석 글은 개인적으로 정리 한 것을 남기거나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해당 글은 종목 추천이 아니니 투자는 본인이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이 있는 것이니 신중한 판단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원래는 주식에 관심이 많았는데, 올려야지 X 100을 반복하다가 이제서야 올리게 됩니다. 저의 첫 분석기업은 농기계 관련 기업인 대동(000490) 입니다. 좋아보이거나 추천하는 종목은 아니니 혹시 기업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간단 분석 배당 수익률이 너무 짜네요 ㅠㅠ 사업 대동이라는 기업은 농기계 전문기업으로, 사업 부문은 농기계 부문(트랙터, 콤바인, 이양기 등), 주물 제품 부문(실린더 헤드 및 기타), 기타 부분(유압 기기류 등)으로 나뉩니다만, 농기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듯..
식각공정 식각공정이란, 말 그대로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포토 공정에서 감광액을 이용하여 막을 형성한뒤에, 선택적으로 막을 제거하여 회로의 패턴 중 필요한 부분만 남깁니다. 다른 말로는 에칭공정이라고 합니다. 식각 공정에는 크게 액체를 사용하는지, 기체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나뉘는 습식 식각공정과 건식 식각 공정이 있습니다. 위의 2가지 방법이 있긴하지만, 최근에는 정확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건식 식각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건식 식각 방법은 3가지 방법으로 나눠집니다. * 등방성, 비등방성 등방성이란 식각 속도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경우를 말하고, 비등방성은 수평, 수직 간 식각 속도가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미세화 공정에서는 비등방성이 장점을 가집니다.
산화 공정 앞에서 살펴본 웨이퍼 공정에서 잉곳을 만든 후 절단하여 웨이퍼를 만듭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상태이므로 특정 조건에서 전기가 흐르는 반도체의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웨이퍼 위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작업이 있는데, 이를 산화 공정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웨이퍼에 여러가지 물질로 얇은 막을 증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열산화 방법 등을 통해 얇고 균일한 실리콘 산화막(SiO2)형성 시킵니다. * 열산화 방법 : 고온(800~1200도)에서 산소나 수증기를 웨이퍼 표면에 뿌리는 산화막을 형성하는 방식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건식 산화(Dry Oxidation)와 습식 산화(Wet Oxidation)가 있습니다. - 건식 산화 : 순수한..
웨이퍼 제조 기업 SK 실트론(비상장) 국내 유일 반도체 실리콘웨이퍼 생산 없체로 알려져 있으며, 아쉽게도 비상장 주식입니다. 이전에 설명드린 간단한 점유율에서는 세계적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조금 특이한 점은 17년 SK의 반도체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LG소속에서 SK로 인수되었으며, SK, 반도체기업 LG실트론 인수 23일 SK㈜ 이사회 결의…인수금액 6200억원 SK, 반도체 소재사업 포트폴리오 구축 가속화 LG, “주력사업에 선택과 집중” www.hani.co.kr 2년동안 인수가격인 6000억을 상회하는 2년 연간 영업이익 7000억을 달성하며 인수금액을 2년만에 초과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SK의 선구안…'만년 적자' 실트론, 2년만에 인수자금 회수해 - 머니투데이 SK그룹이 LG..
이번엔 반도체 제조 공정을 순서대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에 나와있는 반도체 전체 공정 중 첫번째인 "웨이퍼 제조"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웨이퍼란? -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위해 여러 소자를 구성하기 위한 칩(집적회로)을 만들어야되는데 이 칩을 만들기위한 판 - 웨이퍼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며, 모래에서 추출할 수 있어 재료 수급이 뛰어나고, 독성이 전혀 없다는 장점에 많이 쓰인다. 웨이퍼 제조 공정의 상세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잉곳 만들기 웨이퍼 제조는 실리콘을 녹여 초고순도의 실리콘 기둥을 만드는데 이를 잉곳이라고 한다. 2. 잉곳 절단 하기 얇은 원판 모양의 웨이퍼를 만들기 위해, 다이아몬드로 만든 톱을 사용하고 얇게 절단한다. 절단할 시 두께가 얇은수록 제조원가..
오늘은 반도체에 대해 정리해보는 첫번째 포스팅으로, 공정에 대해 집중해서 계속 정리하려고 합니다. 글이 조금 길지만, 볼드체, 빨간색 내용만 보셔도 정리되실 거에요 (라고 기도중 ㅠㅠ) 정의 반도체의 위키백과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반도체(半導體, 영어: semiconductor)는 상온에서 전기를 전하는 전도율이 구리 같은 도체와 애자, 유리 같은 부도체(절연체)의 중간 정도이고, 가해진 전압이나 열, 빛의 파장 등에 의해 전도도가 바뀐다.[1] 일반적으로는 규소 결정에 불순물을 넣어서 만든다. 주로 증폭 장치, 계산 장치 등을 구성하는 집적회로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반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부도체처럼 동작하고 실온에서는 도체처럼 동작한다. 다만 반도체는 부도체처럼 동작할 때와 도체처럼 동작..